'지휘관이 강해야 대원도 강하다.'
경북 포항 해병 1사단 지휘관들은 부대 창설 56주년을 맞는 1월 15일 영하 20도를 넘나드는 혹한 속에서 방탄조끼 등 22.4㎏의 전투하중을 이겨내며 전투기술 숙달도를 평가받았다.
해병 1사단은 창설 기념행사 대신 지휘관의 전투기량을 점검하는 ‘전투지휘자 점검 및 경연대회(Combat Warrior & Leader)’를 가졌다.
참가자들은 전투사격·화생방·체력단련·전투기술 등의 전투전사 과목과 상황보고·작전명령 하달, 독도법·군대부호, 무기사용법·장비조작술 등 전투리더 과목 중 핵심 15개 과제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
5개 조로 나뉜 참가자들은 전투연병장과 주둔지 일대에서 펼쳐진 대회에서 대전차로켓 팬저파우스트(PZF-Ⅲ)와 81㎜ 박격포 사용법, 유·무선 통신장비 조작, 방독면 착용 및 부수기재 사용법, 완수신호, 구급법 등 각종 전투상황에 부합하는 조치사항을 겨뤘다.
연대장과 대대장, 작전참모 등 영관장교 51명은 이날 오전 K-2 소총분해조립작업에 이어 K-2 소총 사격을 실시했다. 이들은 ‘서서 쏴’, ‘앉아 쏴, '엎드려 쏴’ 자세로 잇따라 실탄을 발사했다..
(몇몇 장교들은 제한시간이 다 돼서야 사격을 끝마쳤다. 짧게는 수 년에서 길게는 10년이 넘도록 소총 사격을 해 보지 않은 탓에 일부는 전투사격시험에서 탈락했다).
사격을 끝낸 일부 장교는 총검술 19개 동작 시험을 치렀다. 앞서 이모 대령은 소총 개머리판에 깨알 같은 글씨로 총검술 순서를 적은 손바닥한만 메모지를 보며 연습을 하기도 했다.
부상자 이송시험에서는 사단장인 이영주 소장이 직접 동작 시험을 보였다.
세부 합격기준을 명확히 제시한 이날 대회는 우수(A)·양호(B)·불량(C) 세 단계로 숙달도를 측정한 결과 극소수만 B를 받았을 뿐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A를 획득함으로써 ‘무적해병’의 면모를 과시했다.
한 연대장(대령)은 “직접 훈련을 해보니 어려운 점이 적지 않았다”며 “하지만 장병들과의 공감지수는 높아진 것 같다”고 밝혔다.
대대장 시절 이후 7년 만에 소총사격을 했다는 또다른 연대장(대령)은 “전투기량은 끊임없이 배우고 익혀 습성화해야 한다는 것과 지휘관이 알아야 부대 전투력이 상승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고 말했다.
해병1사단은 앞으로도 장교를 대상으로 한 사병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사진으로 읽는 국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호주얼리호를 구출한 해군 특수전여단(UDT/SEAL) 요원들의 활약 모습 (0) | 2011.01.21 |
---|---|
청해부대에 파견된 최영함의 사격 훈련 모습 (0) | 2011.01.21 |
현빈, 해병대 최고령 지원병 (0) | 2011.01.16 |
천안함 앞에 선 새내기 조종사들 (2) | 2011.01.14 |
여성 ROTC 기초군사훈련 돌입 (0) | 201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