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이야기

아! 연평도, 1년만에 만난 너의 모습은?


아! 연평도. 1년 전 해병 연평부대 이발소는 이제 안보 전시관으로 변했다. 이곳은 1년 전 북한 포격 도발의 상흔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화장실 변기의 벽은 파편으로 구멍이 뚫렸고 타일이 떨어져 내렸다. 지난해 11월 23일 122㎜ 방사포탄이 관통한 천장에는 지름 1.5m가량의 구멍이 남아 철근 가락들이 몸을 삐죽이 내밀고 있었다.

당시 K-9 자주포 부대인 포7중대 중대장이었던 해병대 김정수 대위는 ‘공룡 발소리’ 같았던 포성을 생생히 기억했다.

북의 포문이 목표물로 겨눴던 진지 주변은 여전히 상처투성이였다. 화염에 의한그을음, 포탄이 떨어져 움푹 팬 땅, 포상에는 크래커 조각 모양의 수천 개 파편자국이 남았다.



그날 이후 해병대원들은 2주가량 포 진지에서 대기태세를 유지했다. 이들 가운데 불발탄이 발생해 결국 마지막까지 사격에 참여하지 못했던 4포 대원의 각오는 남달랐다.

김 대위는 “4포 대원들은 자기들만 사격을 못했다는 억울함과 포병의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는 안타까움, 혹여 중대에 누가 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힘들어했다”며 “추가 도발이 생기면 가장 먼저 사격하겠다는 다짐을 아끼지 않았다”고 전했다.

4포 반장이었던 김상혁 중사도 속내를 털어놨다. “‘13분(대응사격까지 걸린 시간)’에 대한 논란이 있을 때는 억울함도 있었다”며 “‘한 번만 더 건드려봐라’ 하는 각오가 있었다. ‘이번엔 확실히 보여주자’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추위 속에서도 잘 견딜 수 있었다”고 말했다.

부대 곳곳에는 ‘11월23일, 아직 전투는 끝나지 않았다’는 문구와 함께 ‘연평부대 포격전투 승전 기념’ 표지판이 붙어 있었다.

그날 포격 탓에 부상한 8명 중 5명이 본인의 뜻에 따라 소속부대로 다시 돌아왔다. 경비대대 소속 한규동 병장도 그 중 한 명이다. 파편은 입 주변과 왼쪽 볼에 긴 상처를 남겼다. 연평도로 다시 돌아온 이유에 대해 그는 “동료가 좋았다. 왠지 나를 기다리는 것만 같았다”고 말했다.

그날의 기억은 이들에게 우애로 남았고 일병이었던 그는어느덧 제대를 100일 정도 앞둔 병장이 됐다. 모두의 상처가 다 아문 것도 아니다.



부상자 중 한 명인 이한 병장은 “그 일을 겪은 후 더 강해졌다. 한 번 죽다 살았는데 덤으로 얻은 목숨, 이제는 뭐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방공 진지에서 불과 3㎞ 떨어진 곳에는 북한 석도(席島)가 있다. 무인도인 섬에서 1.5㎞ 지점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이다.

서해 최북단에 있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북한의 저공침투 상황에 대비한 벌컨포 사격 훈련 등 기습침투 상황을 가정한 조치훈련이 하루에 2회 이상 불시에 이뤄진다.

연평도는 한창 공사 중이다. 차량이 쉽게 지나도록 도로도 새로 정비했고 진지ㆍ교통로 유개화(지붕을 덮음) 사업이 진행 중이다.

포격 당시 시커먼 연기를 내뿜으며 작전에 도움이 되지 않았던 포상의 타이어는 타지 않는 소재로 바꿨다. 진지 주변의 나무도 베냈다.

군은 내년까지 연평도와 백령도에 공격형 헬기 격납고와 전방탐지감시대 방호시설, 2015년까지 진지·교통로 유개화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지난 8월에는 서북도서 일대 작전을 지휘하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가 들어섰고 병력 1000여 명이 추가 배치됐다. 전차와 다연장포, 신형 대포병레이더 아서(ARTHUR) 등이 전환 배치됐다. K-9 자주포, K-10 포탄운반차, AH-1S 코브라 공격헬기, 링스헬기, 고성능카메라 등도 새로 들어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