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이야기

해적의 세계

 

검은 바탕에 흰 두개골과 2개의 대퇴골을 교차시킨 검은 해적기 ‘졸리 로저’(Jolly Roger)를 펄럭이며 대양을 누비던 중세의 해적들은 근무조건이 열악했다.


그들은 노략질에 앞서 먼저 비위생적인 환경과 생명을 위협하는 폭풍우에 맞서야 했다. 죽음의 문턱은 가까웠다. 잡히면 서양에서는 교수형, 동양에서는 참수형을 당했다.


이들은 정부의 공공연한 지원을 받는 '사략선' 해적과 법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운 '필리버스터'(혹은 버커니어) 해적으로 구분됐다.


사략선은 적선을 나포하는 면허를 가진 일종의 민간 무장선이었다. 영국 여왕의 해적 프랜시스 드레이크나 나폴레옹의 해적 로베르 쉬르쿠프 같은 약탈자들은 ‘적 상선 나포 허가증’을 발급받고 항해하다 적선을 탈취했다. 그들의 노획물 일부는 왕실의 몫이었다.


이에 반해 1717년 2월 무역선 위더호를 탈취해 해적 행위를 했던 샘 벨러미는 필리버스터였다. 벨러미의 부하는 150명이었고 이 가운데 30명은 도망친 노예였다.


이들의 의사결정은 원칙적으로 다수결에 따른 민주적 절차를 거쳤다. 이는 1697년 자메이카에서 열린 해적회의에서 의결된 해적 규약에 따른 것이었다. 규약은 노획물의 분배와 해적 일을 못하게 됐을 경우 연금 지급에 관한 규정도 다뤘다. 또 선장은 선원에 의해 선출됐고 투표에 의해 해임이 가능했다.



이 같은 해적들이 18세기 전반에 기승을 부린 데는 두 가지 원인이 있었다. 1689년부터 1697년까지 영불전쟁, 1701년부터 1713년, 그리고 1714년에는 스페인의 왕위 계승전쟁이 격렬하게 진행됐다. 그래서 해군 함대는 해적 소탕이 아닌 다른 임무를 수행해야 했다. 이 전쟁들이 끝나자 함대는 감축됐고 수천 명의 수병은 실업자 신세가 됐고, 해적으로 전직한 자들이 속출했다.


해적의 역사는 오늘날에도 암묵적 수수방관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최근 국제 문제가 되고 있는 소말리아 해적들이다.


중세 해적들의 한몫 잡고 은퇴할 수 있는 기회는 하층계급 뱃사람들을 유혹했다. 서로 이익을 나눠 부를 쌓을 수도 있었고 신분 상승의 기회를 가질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소말리아 해적들도 이와 유사하다. 해적은 젊은이들의 인기 직업이 됐고, 여인들의 선망의 대상이 됐다. 단지 범선 대신 모터보트를 타고, 구식 대포와 부싯돌 권총 대신 RPG7·M60·106㎜ 무반동총으로 무장했다는 점이 차이다. 





                                                               <체포된 소말리아 해적들>



소말리아 12개 군벌이 주도권 싸움을 벌이는 가운데 군벌들이 해적을 직접 운영하거나 납치를 사주하는 것도 중세 해적과 비슷하다. 이들은 납치조 1, 대기조 2 등 보통 3개 조로 활동하고 석방 대금은 필리버스터 해적처럼 3개 조가 균등하게 배분한다고 한다.


그 소말리아 해적이 또 일을 저질렀다. 한국 어선 금미 305호가 지난 9일 케냐 연안에서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뒤 해적 본거지까지 끌려간 모양이다.

게다가 해적들이 금미 305호를 해적선 모선으로 이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하긴 중세 해적들도 약탈한 무역선을 새로운 해적선으로 삼은 사례가 많다. '배운게 도둑질'이라고 소말리아 해적들이 과거 선배 해적들이 했던 못된 짓을 그대로 답습하나 싶어 걱정이다.


금미 305호의 피랍은 지난 4월 인도양 해상에서 31만9360t급 원유 운반선 삼호드림호가 소말리아 해적에 피랍된 후 이렇다 할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벌어진 사건이다.


일각에서는 소말리아에 파병한 청해부대의 화끈한 구출작전을 얘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실 속에서는 ‘바다의 람보’를 기대하는 것은 곤란하다.




<지난 4월17일 청해부대 문무대왕함 소속 링스헬기가 찍은 소말리아 해적의 모선과 자선.
모선의 주황색 가림막은 해적의 무기를 숨기기 위한 위장막>

 



지난 4월에도 청해부대 소속 구축함인 충무공이순신함이 삼호드림호를 납치한 해적들의 이동 지연을 위한 시위 기동을 했지만 삼호드림호가 소말리아 연안으로부터 4.5마일 떨어진 해역에 투묘(닻을 내림)함에 따라 군사작전을 포기했다. 현장 상황도 잘 모르면서 펼치는 작전은 무모한 희생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물론 군사작전이 감행된 사례도 있다. 삼호드림도 피랍에 앞서 독일 컨테이너선이 소말리아 해적들로부터 납치되자 네덜란드 기동대원들이 군사작전을 감행, 해적 10명을 생포하고 선원 15명을 무사히 구출했다. 그러나 독일 컨테이선의 선원들은 유럽연합(EU) 함대의 ‘위험지역 항해 매뉴얼’에 따라 배안에 마련해 둔 안전방으로 몸을 숨겼다. 덕분에 기동대원들은 선원들의 안전이 확보된 상황에서 부담없이 군사작전을 감행할 수 있었다.. 

 

경우는 다르지만 1976년 이스라엘 특수부대의 우간다 엔테베 공항 기습작전도 인질들이 갇혀 있던 공항 터미널 건물의 설계도가 없었으면 이뤄질 수 없는 군사행동이었다. 당시 공교롭게도 터미널 공사를 이스라엘 업체가 했던데다 먼저 풀려난 이스라엘 국적이 아닌 인질들의 증언 덕분에 이스라엘 특수부대는 남아 있던 인질의 위치는 물론 납치범들의 행동범위까지 파악할 수 있었던 것이다. 

아마도 이런 정도의 정보를 갖고 있으면 우리 청해부대의 특수부대원들도 피랍 선원들을 구출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당장 해적들과의 협상 외에는 뾰족한 수단이 없다.


결국 당장은 힘들겠지만 장기적으로 가장 좋은 해결책은 해적들이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이 없어지는 것이다. 중세의 해적이 그랬듯이 소말리아가 안정되면 자연스럽게 해적도 사라질 것이라는 점에서 소말리아가 하루빨리 안정되기를 바란다.


'국방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군의 배낭  (13) 2010.10.24
운보 작품 총탄세례 받았다  (12) 2010.10.21
수기부가 군 수뇌부 장악했다  (13) 2010.10.19
군번줄 대신 계급장  (15) 2010.10.18
공군 우주인 프로젝트 발표  (9) 2010.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