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자료

미주지역 독립운동가

92주년 31,

미주지역 독립운동 지도자

강영소 선생 등 순국선열 애국지사 176명 포상

건국훈장 120, 건국포장 27, 대통령표창 29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오는 31일 제92주년 31절을 맞아 미주지역에서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장 등으로 활약하며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후원한 강영소 선생을 비롯하여 176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120(독립장 2, 애국장 55, 애족장 63), 건국포장 27, 대통령표창 29명으로서 이 가운데 여성은 1명이며 생존자는 없다.

 

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92주년 31절 기념식장에서 유족에게 전수된다.

 

176명의 포상자 가운데 97%에 달하는 171명은 국가보훈처의 전문사료발굴분석단이 행형기록 및 일제 정보문서, 신문보도 기사 등을 찾아 분석검토하고, 현지조사를 통해 동일인 여부활동 전후의 행적을 확인하는 등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자료를 발굴하여 포상하게 되었다. 발굴 포상자 171명 가운데 23명은 판결문 등 입증자료를 통해 공적내용을 발굴한 후 다시 읍사무소에서 제적등본, 가족관계등록부 등을 역 추적하여 후손을 찾아 포상함으로써 후손들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근현대사, 독립운동사 등 역사학 전공자를 주축으로 2005년에 발족한 국가보훈처 전문사료발굴분석단은 그 동안 수형인명부와 범죄인명부, 형사사건부, 신분장지문원지, 가출옥에 관한 서류, 판결문 등의 국내 사료는 물론 중국 자료, 러시아 국립문서보관소 등에 산재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국내와 중국 관내 및 만주, 노령, 일본, 미주 등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을 다수 발굴포상하여 왔다.

특히 이번 31절에는 신한민보와 최근에 간행된 미주국민회자료집(2005) 등에서 미주지역에서 활동한 열 한분의 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하여 포상하였다. 강영소(건국훈장 독립장) 선생을 비롯, 이살음(건국훈장 애국장), 박원걸(건국훈장 애국장), 남궁염(건국훈장 애족장), 신형호(건국훈장 애족장), 장인명(건국훈장 애족장), 이범녕(건국포장), 백운택(건국포장), 최용진(건국포장), 김홍(건국포장), 방사겸(건국포장) 선생 등이 영예의 주인공이다.

이로써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은 분은 대한민국장 30, 대통령장 93, 독립장 809, 애국장 3,742, 애족장 4,627, 건국포장 896, 대통령표창 2,246명 등 총 12,443명에 이른다.

 

앞으로도 국가보훈처는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등과 기존의 사료 수집 공조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고 국외 소장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굴하는 한편, 지방자치단체와 문화원 등과도 긴밀히 협조하여 독립유공자 발굴 작업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금년도 제92주년 31절 포상자 가운데 주요 인물의 공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주지역 독립운동의 대표적 지도자 강영소 선생

미주 이민 직후인 19055월 하와이에서 에와 친목회 결성에 참여한 이래 19091월 미주지역의 통일된 독립운동 단체로 국민회(國民會)를 결성하고 1913년 안창호와 함께 흥사단(興士團)을 조직하였으며, 1916년과 1920년에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장, 1922년부터 1931년까지 신한민보 편집장과 시카고 대한인공동회 재무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지속적으로 독립운동 의연금을 제공한 강영소(姜永韶)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된다. 선생에 대한 포상은 신한민보미주국민회자료집등에서 활동 내용과 독립운동 의연금 제공 사실 등이 확인됨으로써 이루어졌다.

 

의병에서 출발, 노령과 만주에서 무장투쟁을 벌인 유상돈 선생

1909년 평북 철산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하고 벽동에서 일인 관리를 처단했다가 체포되어 투옥 중 탈옥한 뒤 노령으로 건너가 1915년 이르쿠츠크에서 항일결사 ‘21형제에 가담하고, 1918년 북만주 목릉에서 일본군 출병에 대응해 무장세력을 결집시키고 이듬해 노령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노인동맹단 의사원으로, 19249월 목릉소재 동양혁명대의단 집행부장으로 활약한 유상돈(劉尙敦)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된다. 선생의 투쟁은 대한제국 시기의 항일 의병이 일제하 만주노령의 항일무장투쟁으로 계승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지역 유지로 김화지역 독립운동의 구심점이 된 진홍거 선생

1928년경 강원도 김화에서 김중산(金中山) 등과 함께 조선공화정치국(朝鮮共和政治局)에 가입해 재무과장으로 독립운동 자금모집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옥중 순국한 진홍거(陳鴻巨)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지역에서 영향력 있는 유지의 신분으로 독립운동에 가담함으로써 김화지역 독립운동의 구심점이 되었다.

이른바 제2차 안동의진의 실질적인 지도자 권재호 선생

1896년 음력 1월 제2차 안동의진으로 알려진 김도화(金道和) 의진 의 중군장(中軍將)으로 호좌의진(서상렬 의진)의 안동지역 주둔에 협력하고 경북 예천에서 개최된 회맹(會盟)에 안동의진의 대표로 참석하였으며, 부하의병 250명을 이끌고 제2차 태봉(胎封) 전투에 참가한 권재호(權載昊)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선생에 대한 포상은 국가보훈처가 간행한 한말의병일기(2003)에서 활동내용이 보완되고 제적부와 족보에서 인적사항이 확인되어 이루어졌다.

석주 이상룡 선생 가문의 열 번째 독립유공자 강호석 선생

1919년 가을 중국 안도현 내도산에 성준용 등과 함께 독립군 병영지를 물색하고, 19248월 반석현에서 열린 한족노동당 창립대회 발기인, 192610월 동 검사위원으로 선임되어 독립운동을 전개한 강호석(姜好錫)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선생은 경북 안동 출신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李相龍: 1962년 독립장) 선생의 사위이다. 이로써 이상룡 선생 가문은 기왕에 독립유공자로 서훈된 이광민(李光民: 1990 독립장), 이병화(李炳華: 1990 독립장), 이봉희(李鳳羲: 1900 독립장), 이상동(李相東: 1990 애족장), 이승화(李承和: 1990 애족장), 이운형(李運衡: 1990 애족장), 이준형(李濬衡: 1990 애국장), 이형국(李衡國: 1990 애족장) 선생을 포함 총 10분에 달하여 독립운동의 명가로서 영예를 드높이게 되었다.

 

광주에서 간호사로 만세운동에 가담해 옥고 치른 김안순 선생

1919310일 간호사로서 전남 광주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다가 체포되어 징역 4월을 받고 옥고를 치른 김안순(金安淳) 선생에게 대통령표창이 추서된다. 그동안 선생에 대한 포상은 관련 자료상 성명이 김안순, 김유운으로 상이하여 보류되었으나, 두 차례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경찰청에 김안순의 지문과 김유운의 지문 일치 여부에 대한 조사를 의뢰, 동일인임이 확인됨으로써 이루어졌다.

 

 

 

 

 

 

붙 임

 

1. 정부 포상자 명단

2. 주요 서훈자 공적사항

3. 독립유공자 포상현황 및 공적조서 (별도 책자)

4. 포상 친수자 공적사항 및 유족명단

1. 정부포상자 명단(176)

 

건국훈장 독립장(2)

 

강영소 姜永韶 (미주방면)

유상돈 劉尙敦 (노령방면)

 

건국훈장 애국장(55)

 

강희옥 姜希玉 (국내항일)

고덕린 高德麟 (3·1운동)

궁인성 弓寅聖 (만주방면)

권병이 權秉貳 (의 병)

김광욱 金光旭 (만주방면)

김덕하 金德河 (만주방면)

김도빈 金道彬 (만주방면)

김명춘 金明春 (의 병)

김순보 金順甫 (의 병)

김승엽 金承燁 (만주방면)

김영활 金永活 (국내항일)

김원일 金元日 (의 병)

김유성 金有聲 (만주방면)

김응옥 金應玉 (만주방면)

김정근 金正根 (일본방면)

김춘백 金春白 (만주방면)

박동의 朴東義 (의 병)

박여균 朴汝筠 (만주방면)

박운서 朴雲瑞 (만주방면)

박원걸 朴元杰 (미주방면)

손재순 孫在順 (만주방면)

송좌렴 宋佐濂 (만주방면)

신대용 申大勇 (만주방면)

오승업 吳承業 (국내항일)

오찬순 吳贊淳 (만주방면)

오창순 吳昌淳 (만주방면)

유승언 劉承彦 (의열투쟁)

이강유 李康裕 (의 병)

이광혁 李光爀 (만주방면)

이동구 李東九 (의 병)

이두순 李斗順 (의 병)

이살음 李薩音 (미주방면)

이성화 李成化 (의 병)

이진제 李鎭濟 (만주방면)

이춘화 李春化 (의 병)

이판득 李板得 (의 병)

장응규 張應圭 (국내항일)

장춘삼 張春三 (의 병)

전응두 田應斗 (만주방면)

정무봉 鄭茂奉 (국내항일)

정문칠 鄭文七 (의 병)

정봉길 鄭鳳吉 (만주방면)

정원준 鄭元俊 (의 병)

조만식 趙晩埴 (임시정부)

조병순 趙炳淳 (의 병)

조인현 趙仁賢 (만주방면)

주영점 朱永漸 (만주방면)

지운경 池雲卿 (노령방면)

진홍거 陳鴻巨 (국내항일)

최병춘 崔炳春 (만주방면)

최수연 崔壽連 (국내항일)

최윤희 崔允喜 (만주방면)

한성근 韓聖根 (만주방면)

한창석 韓昌錫 (만주방면)

황익수 黃翊洙 (중국방면)

 

건국훈장 애족장(63)

 

강진삼 姜鎭三 (만주방면)

강호석 姜好錫 (만주방면)

곽원국 郭元國 (만주방면)

권재호 權載昊 (의 병)

김동준 金東俊 (국내항일)

김봉환 金鳳煥 (만주방면)

김석연 金錫淵 (국내항일)

김석주 金錫柱 (국내항일)

김성현 金聖鉉 (국내항일)

김순용 金順用 (일본방면)

김승주 (3·1운동)

김영호 金英鎬 (만주방면)

김재욱 金在旭 (3·1운동)

김치민 金致敏 (만주방면)

김홍배 金鴻培 (만주방면)

김효건 金孝鍵 (임시정부)

남궁염 南宮炎 (미주방면)

명창하 明昌夏 (만주방면)

박계수 朴季壽 (만주방면)

박일초 朴日楚 (만주방면)

박정국 朴貞國 (만주방면)

반운병 潘雲炳 (국내항일)

백승하 白承河 (만주방면)

백용기 白龍起 (만주방면)

신형호 申衡浩 (미주방면)

안우진 安宇震 (국내항일)

안희범 安希範 (만주방면)

양성춘 楊成春 (노령방면)

양인항 梁仁恒 (3·1운동)

엄정섭 嚴正燮 (국내항일)

여준현 呂駿鉉 (국내항일)

오석영 吳錫永 (만주방면)

유한선 劉漢先 (국내항일)

이민식 李敏軾 (국내항일)

이석곤 李錫坤 (국내항일)

이성준 李成俊 (만주방면)

이원근 李元根 (만주방면)

이준근 李俊根 (만주방면)

임도준 任度準 (노령방면)

장인명 張仁明 (미주방면)

장천석 張天錫 (임시정부)

전형록 全亨祿 (국내항일)

정경근 鄭慶根 (국내항일)

정득수 鄭得洙 (국내항일)

정염구 鄭濂球 (국내항일)

조대헌 趙大憲 (만주방면)

주덕삼 朱德三 (노령방면)

주혁 朱赫 (만주방면)

지영걸 池永傑 (만주방면)

최병진 崔秉珍 (만주방면)

최성운 崔成雲 (만주방면)

최성진 崔成珍 (3·1운동)

최예락 崔禮洛 (3·1운동)

최용억 崔龍 (만주방면)

최장혁 崔長赫 (만주방면)

한대진 韓大震 (만주방면)

한승겸 韓承謙 (국내항일)

한승은 韓承殷 (3·1운동)

한시화 韓始華 (국내항일)

허영기 許泳驥 (만주방면)

현기언 玄基 (임시정부)

홍진우 洪震宇 (노령방면)

황경선 黃京善 (만주방면)

 

건국포장(27)

 

강석압 姜錫鴨 (노령방면)

고익영 高益英 (3·1운동)

김동훈 김동훈 (노령방면)

김명무 김명무 (노령방면)

김용관 金龍觀 (3·1운동)

김홍기 金鴻機 (미주방면)

리주연 리주연 (노령방면)

박군팔 朴君八 (노령방면)

방사겸 方四兼 (미주방면)

백운택 白運澤 (미주방면)

손응진 孫應鎭 (노령방면)

송병걸 宋秉杰 (만주방면)

송상원 宋祥元 (만주방면)

신중집 申仲執 (만주방면)

이범영 李範寧 (미주방면)

이정익 이정익 (노령방면)

전남익 全南翊 (노령방면)

전병호 전병호 (노령방면)

전창렬 全昌烈 (국내항일)

조순서 趙順瑞 (노령방면)

조재건 조재건 (노령방면)

조흥명 趙興明 (노령방면)

지건 池健 (노령방면)

채득필 蔡得弼 (만주방면)

최용진 崔龍鎭 (미주방면)

최해진 崔海鎭 (만주방면)

한규석 韓奎錫 (만주방면)

 

대통령표창(29)

 

계영수 桂英秀 (3·1운동)

고창근 高昌根 (노령방면)

김공필 金公弼 (3·1운동)

김덕재 金德在 (노령방면)

김도손 金道孫 (3·1운동)

김백룡 金白龍 (3·1운동)

김사길 金士吉 (3·1운동)

김성실 金聖實 (3·1운동)

김안순 金安淳 (3·1운동)

김영휘 金永暉 (3·1운동)

김응칠 金應七 (3·1운동)

김정기 金正基 (3·1운동)

김준철 金俊喆 (국내항일)

김창실 金昌實 (3·1운동)

나성헌 羅晟憲 (임시정부)

박문백 朴文伯 (3·1운동)

박성무 朴成茂 (3·1운동)

박성식 朴性植 (3·1운동)

박정천 朴正千 (3·1운동)

박종희 朴鍾喜 (3·1운동)

신진현 申璡炫 (만주방면)

오주삼 吳周三 (노령방면)

유성만 柳成萬 (3·1운동)

윤기화 尹基化 (3·1운동)

이계천 李啓天 (노령방면)

이승호 李承浩 (노령방면)

이인석 李寅錫 (국내항일)

이정문 李廷文 (국내항일)

천재섭 千在燮 (국내항일)

 

2. 주요 서훈자 공적사항

 

'국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기호 의원, 군사학회 이사장 취임  (0) 2011.02.26
최초 공개되는 3.1운동 영문 화보집  (0) 2011.02.25
박승춘 국가보훈처장  (0) 2011.02.23
중앙통합방위회의  (0) 2011.02.18
이동건 병무청 홍보대사  (0) 2011.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