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군 코멘터리

'뿌리를 광복군에서 찾는 공군'

 

■‘공군의 아버지 최용덕 장군’

대한민국 공군이 최근 공군의 뿌리를 광복군에 찾는 글을 공군의 블로그 ‘공감’에 올렸다. 공군은 이 블로그에서 “대한민국 공군을 창설한 주역들은 광복군의 독립투쟁을 계승했다”며 “이들은 명예나 보상을 바라지 않고 오직 나라를 구하겠다는 일념으로 목숨을 바쳤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공군에는 광복군의 숭고한 조국애가 뜨겁게 흐르고 있다”며 “그 정신을 계속 이어나가겠다”고 했다.

 

 

실제로 공군은 ‘공군의 아버지’로 제2대 공군참모총장을 지낸 창석 최용덕 장군을 꼽고 있다. 마지막 구절이 ‘하늘에 살면서 하늘에 목숨 바친다’는 공군사관학교 교가도 최용덕 장군이 지었다.

 

최용덕 장군은 광복군총사령부 총무처장 출신이다. 1898년에 한성부(서울)에서 출생한 그는 1913년에 중국으로 망명해 중국 육군 군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그는 중국 보정항공학교에서 조종술을 익혔고, 의열단에 가입해 활동했다. 그는 임시정부의 광복군 비행대 창설계획에도 적극 나섰던 인물이다.

 

최 장군은 ‘공군설계위원회’라는 조직에서 활동하면서 1943년 8월 19일 “일제의 무력 세력을 박멸하고 조국의 완전 독립과 세계의 영구평화를 쟁취하기 위해 공군 인원의 훈련 편대를 비롯한 제반사항을 미국과 공동으로 협상해 나갈 것이다. 최단 기간 내에 공군 작전을 개시하고, 나아가 건군·건국 중 공군 기초를 확립하겠다”는 내용의 조례를 발표하기도 했다.

 

해방후에는 한국과 미국 공군이 함께 훈련하는 공군훈련소의 설립과 한국 항공대 편성, 공군인재 양성 등에 주력했다.

 

최용덕 장군

 

그는 미 군정청이 과거 경력을 인정하지 않아 조선경비사관학교부터 시작해서 육군소위, 육군항공부대 사령관을 거쳐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초대 국방부 차관에 임명됐다.

 

이순신 장군의 ‘백의종군’ 정신을 내세운 최 장군의 영향으로 중국과 일본군에서 장군이나 영관급으로 전쟁을 수행했던 항공인들이 조선경비대 보병학교에 입교, 군사훈련을 받아 한국 공군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은 초대 참모총장으로 독립운동가의 아들인 손원일 제독을 ‘해군의 아버지’로 여기고 있다.

 

 

■‘1~16대 육군총장 가운데 12명이 일본군·만주군 출신’

육군에게는 불편하게 들릴 수 있지만 육군의 역사적 정통성은 해·공군에 견줘 취약한 편이다. 1~16대 육군 참모총장 13명 가운데 최영희 12대 참모총장을 뺀 12명 전원이 일본군(학도병 포함)이나 만주군 출신인 탓이다. 이 가운데 이응준·채병덕·신태영·정일권·이종찬·백선엽·이형근 참모총장 등 7명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이 올랐다. 채병덕과 정일권을 제외한 5명은 정부가 공식 결정한 친일반민족행위자에도 포함됐다. 친일반민족행위자는 일제 때의 민족반역자 가운데서도 죄질이 가장 나쁜 사람들이다.

 

이런 영향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육군은 광복군 역사 찾기나 국군의 날 변경에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는 최근 독립군·광복군 관련 역사를 한국군의 역사에 편입시키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이는 지난달 28일 업무보고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군과 신흥무관학교 등 독립군의 전통도 우리 육군사관학교 교과 과정에 포함하고 광복군을 우리 군의 역사에 편입시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군사편찬연구소는 독립군과 광복군 그리고 국군으로의 계승과정뿐만 아니라 신흥무관학교 등 독립군 양성기관의 활동 등을 역사적 사실관계에 기초해 정확하게 고찰한다는 계획이다. 군사편찬연구소는 “올해 말까지 1차 연구결과를 도출해 대내외 관련 분야 전문가 감수 및 심의 과정을 거친 뒤 우선 사관생도와 장병들의 교육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이후 심층연구를 거쳐 ‘국방사(史)’ 수록 등 우리 군 역사에 편입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민족사학계는 ‘늦었지만 환영할 일’이라고 반겼지만, 일각에서는 군사편찬연구소의 연구가 형식적으로 끝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가짜신화’ 의혹이 제기된 심일 소령 공적조사조차 편파적으로 했다는 비판을 받는 군사편찬연구소이다 보니 적극적인 심층연구 보다는 형식적인 연구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국군의 진짜 생일은 언제인가

모든 기념일에는 상징성이 있다는 점에서 국군의 날 역시 국가의 정체성과 미래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돼 있다.

 

국방부 공식 입장을 보면 38선 돌파일은 국군의 날과 상관이 없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자료를 보면 10월 1일은 창군 이후 각 군별로 창설기념일을 제정하여 시행해 오던 것을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정해진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국군의 날을 바꾸자는 의견이 힘을 얻어가고 있다. 임시정부의 광복군 창설기념일인 1940년 9월 17일로 옮기는 것이 논리적으로나 정통성 차원에서 맞다는 주장이 선두주자격이다. 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한국광복군 선언문을 내걸고 창설됐다.

 

국군의 날 변경 주장은 광복군 창설일만이 아니다. 일제의 대한제국군 해산일이 국군의 날이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1940년 9월 광복군을 재조직할 때 기록인 ‘한국군 광복군 총사령부 성립보고서’를 보면 ‘정미년(1907년) 8월 1일 국방군(대한제국군) 해산의 날이 곧 광복군이 창립된 날이라 할 것이다’라고 하면서 일제에 선전포고한 날로 규정했다는 것이다. 광복군 역사의 정통성은 독립군인 셈이고, 한국군의 뿌리는 항일 의병에 있다는 의미다. 재향군인회가 1993년 8월 펴낸 ‘광복군전사와 국군의 맥’은 국군의 정통성이 의병에서 이어져 온다고 분석했다.

 

과거에는 조선국방경비대 창설일인 1946년 1월 15일을 국군의 날로 정하자는 부류도 있었지만 지금은 사그라들었다. 정부수립일 1948년 8월 15일을 국군이 탄생한 날로 하자는 의견도 있다. 어찌됐든 국군의 진짜 생일을 찾자는 움직임은 힘을 얻어가고 있는 분위기다.

 

공군의 뿌리찾기도 그런 활동의 일환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육군은 누구를 ‘육군의 아버지’로 추앙하고 있을까. 언론매체에서는 6·25전쟁 당시 미8군 사령관 겸 유엔군 사령관이었던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을 ‘대한민국 육군의 아버지’라고 써 왔다. 육군이 창군 주역 가운데서 ‘육군의 아버지’를 찾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박성진 기자 longriver@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