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방자료

K-9에 도스컴퓨터 등/김장수의원

 김장수 의원 보도자료

. 2011년 생산 K-999년형 도스컴퓨터

- ‘진화적 개발 개념없는 방위력개선사업들

 

. 관리사각지대에 있는 정보전력사업 문제 지적 (자료 생략)

 

. 성과홍보 위해 HALO 정보 공개하는 군

- , 해안포 다섯 발 값으로 HALO 대응법 익혀

 

. 방위력개선비 2016까지 중기계획보다 2조 부족

- 핵심군사능력 확보 차질 불가피

 

 


‘11년 생산 K-999년형 도스컴퓨터.

'진화적 개발 개념' 없는 국산 주력무기들



 

질의요지

1999년부터 전력화된 K-92011년도에도 최초 생산 시와 동일한 386, 또는 486급 도스컴퓨터가 장착됨.

2001년부터 전력화된 K1A12011년 마지막 전력화 물량에도 32비트 FCU에 의한 아날로그 방식에 의존하고 있음.

10년 이상 진부화 된 IT기술을 최신 장비에도 계속 적용하는 것은 부품공급의 차질은 물론 운영유지의 어려움을 야기 시킴. 해외수출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음.

진화적 개발개념을 적용하여 3~4년 주기의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계획을 방위력개선사업에 반영하여야, 시대에 뒤떨어진 무기체계를 계속 구입하는 관행을 개선할 수 있음.

 

‘11년 생산 K-9에도 99년형 도스컴퓨터, 상당부품은 단종상태로 가격 급상승

K-91999년부터 전력화되어 2019년까지 총 1,100여문이 전력화된다. 적지 종심타격 및 대화력전 수행을 위한 자주포 확보사업이다. 2011년 현재까지 약 600여대가 전력화되어 있다. 대당 39억원짜리 무기체계이며 종합군수지원 및 탄약예산까지 포함하여 총예산 96,120에 달하는 사업이다.

- 1999년부터 전력화 된 K-9 주요 구성품 중 사격통제장비(전시기, 시스템통제기, 사격제어기, 통신처리기, 전원조절기, 포구초속측정기 등)486CPU기반이다. 1호기부터 24호기까지는 386급이고, 25호기부터는 486CPU기반으로 사통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 사격통제장비 한 세트 가격이 2010년 기준 31천만원 정도이다. 이 사격통제장비에는 486 CPU가 세 개 들어간다. 오늘날 시중에서 486급 도스컴퓨터를 찾아보기는 힘든데, 아직도 우리 주력 자주포 K-9은 그 수준에 정체해 있다.

- 상황이 이렇다 보니 특정 수입부품들은 단종되어 그 가격이 3년 사이 이 70% 가까이 상승하였다. EPLD라는 부품의 경우 2007650달러이던 것이 2010년에는 1,070달러까지 가격이 치솟았다. 더 이상 해외에서 생산하지 않는 부품이기 때문에 가격이 치솟은 것이고, 향후 운용유지를 위한 부품확보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SW적으로 논리회로를 구성하는 전자부품. Electronically Programmable Logic Device)

- 앞으로도 20~30년을 활용해야 할 K-9 자주포의 정상적 가동을 위해 군수사에서 미리 단종부품을 확보해 두지 않으면, 가동률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다.

 

K-92013년부터 성능개량 연구개발에 착수할 예정인데, 그 이후에야 팬티엄급 이상 윈도우 기반 컴퓨터가 장착된다. 그런데 통상 성능개량을 위한 연구개발 소요기간이 5년 이상 필요하다. 아무리 성능개량연구개발을 서두른다 하더라도 2016년에 생산되는 k-9에도, 486급의 도스컴퓨터가 장착되는 셈이다.

- 결국 K-9 1차에서 9차까지의 생산분 970여대는 시중에서 부품도 구하기 힘든 486급 구사양 컴퓨터를 장착하게 된다. 유저 인터페이스도 민간분야에서는 사라진지 오래인 도스 기반이다.

- 1999년 당시에는 최신 사양이라 하지만, 그 시점으로부터 13년이 지난 2011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그러한 컴퓨터는 부품을 구하는 것마저 어려운 실정이다.

- 이렇다 보니 우리가 최첨단 자주포라 자랑하는 K-9을 해외로 수출하려고 협상하는 과정에서, 외국이 10여 년 전 구닥다리 IT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다. 2011년 초 인도 수출협상 당사자들 사이에서 그러한 불만제기가 나온 적이 있다. 486 CPU에 도스기반 인터페이스라는 점이 K-9의 수출에 걸림돌이 된 셈이다.

- 본 의원이 조사해 본 바로는 K-9사격통제장치 성능개량을 통해 형상변경을 하면 시스템통제기와 사격제어기, 통신처리기 등을 하나의 장비로 묶어 생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IT발전 추세에 부응하는 것은 물론, 공간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가격도 사통장치 1세트 당 5,000만원 정도를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사통장치 성능개량을 최초 생산 후 12년 이상 실시하지 않았다는 것은, 우리 군 무기체계 전력화 과정의 심각한 문제점이다.

 

국방장관, 왜 이런 문제가 생긴다고 판단하는가? 우리 군이 하나의 무기체계에 대한 소요를 결정하고 전력화를 하는데, 블록개념의 형태로 진화적 개발절차를 적용하지 않다보니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번 ROC가 결정되면, 성능개량이 착수되는데 13년 이상이 소요된다. 그 기간동안 무기체계의 지능부분이라 할 수 있는 컴퓨터 계통의 성능개량이 고려되지 않는다. 하드웨어 부분에 특별한 문제가 생기지 않을 경우 소프트웨어의 성능개량이 이루어지지 않는데, 이는 방위력개선사업에서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한국 주력전차 K1A1도 전력화 완료될 때까지 480여대를 동일한 사양으로 11년간 생산

K1A12001년부터 전력화되어 2011년까지 총 480여대가 전력화되었다. 현재 한국군의 주력전차로 활약하고 있다. 대당 48억원짜리 무기체계이며 종합군수지원 및 탄약예산까지 포함하여 총예산 26,045억원에 달하는 사업이다.

- 2001년부터 전력화 된 K1A1의 사격지원계산체계(BCS)32비트짜리 내장형 컴퓨터(embeded Computer)이다. 아날로그 방식으로 운영되는 형식이기 때문에 컴퓨터라 부르기에는 한계가 있는 장치이다.

Battery Computer System

- 그런데 지금으로부터 약 11년 전의 32비트짜리 BCS2011년에도 동일하게 장착하는 것이 문제다. 윈도우 기반 62비트짜리 CPU가 나온 지 오래이고, 가격도 더 높지 않다.

- K1A1 성능개량에 대한 연구개발은 내년 3월 말에 종료되는데, 현재 계획으로는 성능개량 시 전장관리시스템을 추가하는 것이 주된 개량작업이다.

- 대당 2,600여만원의 전술컴퓨터를 장착하게 되면 모든 작전명령을 컴퓨터로 수락하여 전술 C4I체계와 연동되고, 자동으로 피아식별이 되며, 디지털지도 체계에 표적이 전시되고 복합 항법장치와도 연동된다. 대당 2,600만원의 투자로 작전수행체계가 더 단순화되고 정확해진다.

 

한 가지 무기체계를 10년 이상 전력화시킬 때, 사업이 끝날 때까지 똑같은 사양으로 무기를 도입하는 것은 IT 발전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대단히 잘못된 관행이다. 하드웨어 부분은 문제되는 것 위주로 설계변경을 추진하는 것에 제한하더라도,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는 3~4년 단위의 성능개량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 민간 IT기술에 비해 뒤쳐지는 무기체계를 도입하는 셈이 된다.

 

흑표전차도 마찬가지이다. 200여 대를 전력화하는 동안 3년 단위로 소프트웨어 성능개량 단계를 넣어 차세대 블록개념의 무기체계들이 공급되도록 제도화해야 한다. 이에 대한 합참의장의 입장은?

 

K1A1의 경우 성능개량사업을 도입 후 13년이 지나서 시행하는 창정비 사업과 병행하도록 되어 있다. 하드웨어 부분은 문제가 없겠으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컴퓨터체계 및 소프트웨어는 13년을 기다리기에는 문제가 많다. 성능개량의 개념부터 바꾸어야 하지 않겠는가?

 

현재 K1A1의 성능개량 사업은 2012~2013년 기간동안 1차로 70여대를 우선 성능개량하고,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나머지 410여대를 성능개량 하는 것으로 추진 중이다. 2014년부터 2021년 기간동안 성능개량 사업은 3~4년 주기로 나누어 민간 IT기술발전 추세에 따라 갈 수 있도록 진화적 개발개념을 지속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성능개량사업 역시 블록개념으로 나누어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러한 지적사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블록개념으로 나누어 전력화해야 기술진부화 막는다.

지금처럼 전반적인 무기체계의 형상변경 소요를 창정비 주기와 비슷하게 10년 이상에 한번씩 성능개량(PIP)을 통해서 해결하려고 하면 K-9이나 K1A1처럼 기술진부화의 문제가 발생한다.

Performance Improve Plan

 

장관께서는 무어의 법칙이란 걸 들어 보셨는가? 18개월마다 컴퓨터 메모리 용량이 2배씩 증가한다는 것으로, 10년이 지나면 메모리 용량이 27승 즉 128배로 폭증한다 법칙이다. 13년이면 메모리 용량이 512배가 증가하는 세월이다. 13년 지난 컴퓨터장비들을 아직도 그대로 적용해 K-9을 생산하는 현 제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보기 바란다.

 

- IT체계나 소프트웨어 부분은 민간 IT발전 추세에 맞게 계속 업그레이드 버전을 내놓을 수 있도록 3~4년 주기로 블록개념을 도입하고, 하드웨어적 차원에서 큰 틀의 성능개량을 지금처럼 10~13년마다 창정비 시기에 맞추어 실시하는 것을 병행해야 한다.

관리사각지대에 있는 정보전력사업, 세금낭비 심각

 

자료 생략, 구두질의 참고

성과홍보 위해 HALO 정보 공개하는 군

- , 해안포 다섯 발 값으로 HALO 대응법 익혀

 

질의요지

음향표적탐지장비 HALO24시간 가동 가능하고, 비용대비 효과가 우수해 향후 국내기술개발도 고려중인 장비임. 그러나 그 운용원리가 단순하여, 기본정보가 공개될 경우 적이 대응수단을 마련하는 것도 쉬움.

금년 811일 연평도 인근 NLL해상에 북한이 해안포를 사격했을 때, 북한이 발파작업 중 난 폭음이라고 부인. 우리 군은 이것을 반박하면서 해안포 사격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 근거로 HALO가 발사음을 청취했다고 밝힘.

국민의 알권리도 중요하지만, 기초정보가 노출되면 적도 물리역학을 이용해 무력화가 가능한 HALO의 탐지실적을 공개한 것은 재발되지 않아야 할 실수임.

 

 

811, 군이 HALO의 운용원리, 배치 간격 등 상세히 북에 제공한 셈

음향표적탐지 장비 ‘HALO는 우리 군에게 새로운 장비가 아니다.

HALO :Hostile Artillery Locating System

- 이미 육군(오쉬노 부대)20106월부터 한 세트가 전력화되어 운용중인 장비였기 때문에, 작년 연평도 포격 이후 서북도서긴급전력으로 바로 구입하여 투입할 수 있었다.

- 금년 71일 서북도서에 배치된 HALO가 언론으로부터 주목받게 된 것은 715일부터이다.

- 이때 언론에 HALO의 제작국, 제작회사, 주요 제원과 성능이 상세하게 공개되었다.

- 금년 811, 북이 연평도 인근 NLL해상에 북한이 해안포를 사격하고 나서, “북한이 어디서 몇 발을 쏘았는지를 HALO가 어떻게 알아냈다.”라고 언론에 또다시 세세하게 공개되었다.

- HALO 한 세트 당 관측소(SP/Surveillance Post)가 몇 개 설치되느냐는 부대별로 차이가 나는데, 서북도서에 배치된 할로의 관측소 수까지 정확히 공개되었다.

  *참고로 오쉬노 부대에 작년 배치된 HALO 한세트의 관측소 숫자는 서북도서의 것과 다름.

HALO 매뉴얼에 이상적인 SP 배치간격이 다 나와 있다.

 

이미 공개된 제조사 정보, HALO 운용원리, 관측소간 일정거리를 알면, 북은 아주 간단한 작업으로 HALO의 능력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국방장관, 합참의장 이와 같은 사실을 고려해 보신 적이 있는가? HALO 관측소에서 폭음을 청취하지 못하도록 대처하는 것은 중학생 수준의 물리역학 지식만으로도 가능하다. HALO를 공격하지 않고도 가능한 것이다.

 

북한 군이 바보가 아니다. 아주 간단한 물리역학을 기초로 운용하는 HALO의 정보를 해안포 포탄 다섯발 값으로 얻었는데, 마음먹고 재도발 할 때 이 정보를 활용하지 않겠는가?

- 군이 무슨 생각으로 “811일 연평도 인근 NLL해상 포격의 증거를 HALO로 잡았다.”라고 상세하게 밝혔는지 지금도 아쉬움이 남는다. 그냥 우리 감시장비로 정확히 포착했고, 감시수단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세부사항은 밝힐 수 없다.”라고 설명하는 것이 정답이었다.

 

장관, 꼭 몇 백억이나 몇천억짜리 고급 감시정찰무기체계에서 나온 특급정보만 군사비밀이 아니다. 가격이나 규모를 떠나 적이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감시수단은 외부에 노출되면 그 기능발휘가 현저히 제한된다.

 

감시수단 중첩운용이 HALO 무력화 막는 해법

이미 북에 정보를 다 제공했다. 지난 일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는 HALO하나만 가지고 운용될 때 무력화 될 수 있다는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 서북도서에 배치되기로 한 6가지 탐지자산들의 전력화는 2012년 말까지 완료되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총 903억원의 예산이 배정되어 있다.

- 내년 말까지 전력화하기로 되어 있는 전술비행선과 신세기함UAV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어야 한다.

- 그래서 Arthur를 비롯하여, HALO, 전술비행선, 신세기함, FO용 주야관측장비, 고성능영상감시체계 등 6가지 감시수단이 중첩 운용되면, 북이 HALO 하나를 무력화시키는 작업을 한다 하더라도, 우리 감시수단의 눈을 피할 수 없다.

- 국방부장관은 전술비행선, 신세기함UAV201212월까지 차질 없이 전력화 될 수 있도록 각별히 관리해 주시기 바란다.

 

서북도서에 6개 탐지수단이 모두 전력화 된 다음 “HALO가 발사원점을 발견했다.”라는 정보는 누출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북이 모든 감시수단을 동시에 무력화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서북도서에 대포병탐지레이더를 추가배치? 넌센스!

서북도서에 신형대포병탐지레이더 Arthur가 두 대 배치되어 있다. Arthur의 총수명주기가 12,000시간에 10년인데, 하루 5시간 가동이 적정시간이다.

- 811일 북한 해안포 사격 시 Arthur가 꺼져 있었다는 비난이 있었으나, Arthur12시간 이상씩 사용하면 3년 안에 고장 난다.

- 대안으로 서북도서에 Arthur를 더 배치하자는 건의가 있다. 이런 여론에 휘둘리면 안 된다.

- Arthur는 현재 6대가 우리 군에 전력화되어 있다. 그리고 구형 대포병탐지레이더 ANTPQ36/37은 우리 군에 OO대가 있다.

- 서북도서가 수도권 전체보다 중요한 전략요충지도 아닌데, 두 대 이상을 배치하자는 것은 방어개념상 맞지 않다.

방위력개선비 2016까지 중기계획보다 2조 부족

- 핵심군사능력 확보 차질 불가피

 

질의요지

2015년 전작권 전환 전까지 갖추어야 할 한국 핵심군사능력의 확보가 예산부족으로 차질 예상

’11~’15 국방중기계획()의 방위력개선예산(99,990억원, 9.8% 증가)에 비해 ’11년에 실제 반영된 방위력개선예산(96,935억원, 6.5%)3,055억원 감소

’12~’16 국방중기계획의 방위력개선예산에 비해 ’11년 예산증가율(6.5%)을 적용한 동 기간 재원은 2231억원이나 감소됨.

전작권 전환을 위해 상부지휘구조 개편보다 더 중요한 핵심군사능력 확보는 뒷전. 2015년 전작권 전환 대비 전력의 안정적 확보가 중요한데, 현 추세보다 2조 이상의 방위력개선예산이 추가 투입되지 않으면, 전작권 전환을 3년 반 늦춘 의미가 퇴색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동맹군사능력

본 의원은 2010년 국정감사에서도 전작권 전환과 관련하여 한미간 군사적 역할분담과제를 식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전작권의 전환 전까지 갖추어야 할 한국 핵심군사능력

- 한국이 자주방위능력을 갖출 때까지 보장될 미국 보완전력

- 전작권 전환 이후에도 계속 필요한 미국 지속능력

전작권이 한국군에게 전환되면 우리가 주도적으로 한반도 전쟁억제를 담당하고 미군이 지원하는 관계가 형성된다. 그래서 한반도에서의 동맹군사능력을 유지/발전시키는 작업과 전작권 전환은 병행되어야 한다.

 

 

동맹군사능력의 개념

 

한국핵심군사능력

=+

 

한국이 독자적으로

추가 확보해야 할 능력

(전구지휘체계 등)

 

미국 보완능력 중

추가 확보해야 할 능력

(C4I 체계 등)

한국 핵심군사능력

- 전작권 전환 이후에 한국군이 연합방위를 주도하기 위해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능력이다. (위 그림의 +에 해당하는 전력)

한국이 독자적으로 추가 확보해야 할 능력

- 한반도 지역에 대한 정찰감시와 조기경보 능력, 전구지휘체계, 북한 핵심표적에 대한 타격능력(KSS-잠수함, F-15K ), 지대공 요격전력, 미 모의연습체계)등은 2015년까지 한국군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핵심군사능력의 대표적인 예(위 그림의 부분)

미국 보완능력 중 추가 확보해야 할 능력

- C4I체계, 도하상륙전력, 부분적 감시정찰자산(ISR), 육군항공 등

(위 그림의 부분)

 

미국 (한시적) 보완능력

- 한국군이 수행하기에 부족한 능력을 충족시키기 위해 일정기간 미국이 제공하는 능력을 말한다.

- 예를 들어 차기전투기(FX), 차기다련장, 상륙함, 대형수송함, 대형공격헬기 등의 전력은 당분간 한국이 전력화하기 힘들고 2015년 이후에 점진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전력이다. 이 전력들이 도입되어 능력을 갖출 때까지 부족한 능력을 미국이 한시적으로 제공하게 되는 사항이다.

 

미국 지속능력

- 한국군이 독자적으로 갖출 수 없는 능력으로 동맹이 유지되는 동안 미국이 지속적으로 제공할 능력이다. 구체적으로 특정체계를 명시하기는 어려우나, 예를 들자면 핵우산, 유사시 미군의 전시증원 전력 등을 생각하면 된다.

 

국방장관, 한국 핵심군사능력에 대한 리스트가 201111월 한미군사위원회(MCM)을 통해 합의될 예정 아닌가? 한미간에 한국 핵심군사능력목록이 확정된다는 것은 2015년까지 한국군이 반드시 그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 아닌가?

 

핵심군사능력 확보와 관련된 전력소요

현재까지 개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한국군 핵심군사능력은 전장기능별로 다음과 같다. (세부항목 공개 제한)

- 한반도 전 지역에 대한 정찰감시 및 조기경보 전력

- 전구작전 지휘를 위한 지휘통제 및 기반통신체계 전력

- 북한지역 주요표적에 대한 정밀타격 전력

- 탄도탄 탐지/경보 및 지대공 요격 전력

- 전구급 연습모델 상하연동 합동/연합연습지원 전력

- 공격 대상표적 무력화 수준의 지원 전력

 

이상의 핵심군사능력과 연관된 전력은 ’12~’16 국방중기계획에 반영되어 확보추진중인데, 적작권 전환 전까지 차질 없이 추진되어야 하는 필수사항인 셈이다.

 

국방재원의 적정수준 확보가 급선무

최근 방위력개선비 예산증가율의 감소상황을 보면, 2015년 전작권 전환 전까지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한국핵심군사능력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앞선다.

- 201512월 전작권 전환 시기까지 어느 정도의 방위력개선비가 투입되는가가 전작권 전환 준비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하지만 2010년까지 작성 완료되어야 할 ’11~’15 국방중기계획은 2011년 초에야 내부안만 마련되고 최종생산되지 않은 문서로 명을 다 했다. 작성시기도 늦어졌을 뿐 아니라, 방위력개선비 평균증가율 연간 10% 목표가 지켜지기 어려운 상황에서 ’11~’15 국방중기계획()은 의미 없는 문서일 뿐이다.

 

’11~’15 국방중기계획()의 방위력개선예산(99,990억원, 9.8% 증가)에 비해 ’11년에 실제 반영된 방위력개선예산(96,935억원, 6.5%)3,055억원 감소되었다. 국방중기계획의 시작연도 예산부터 방위력 개선비가 3천여 억원이 삭감된다면, 도대체 무슨 목적으로 국방중기계획을 작성하는가? 반영되지도 않을 문서를 몇 개월 거쳐 작성하는 것이 국방중기계획문서작성 목적에 부합하는가?

 

이미 의미를 상실한 ’11~’15 국방중기계획() 대신 전작권 전환전 방위력개선예산의 기초가 될 ’12~’16 국방중기계획은 금년 6월에 작성되었다.

- ’12~’16 국방중기계획에서 재원(607,520억원, 7.4%)에 비해 ’11년 예산증가율(6.5%) 적용한 중기 대상기간 재원(587,289억원)2231억원이나 감소한다. 2015년까지의 차이만 보면 국방중기계획과 현 추세의 차이는 13,302억원이나 난다. 2016년까지는 2231억원이 부족하다.

 

국방장관, ’12~’16 국방중기계획과 비교해 보더라도 2015년까지 13천억원이 부족하고, 2016년까지 2231억원이 부족하면 전작권 전환 전까지 반드시 확보해야 할 핵심군사능력의 확보가 가능한가?

- 만약, 방위력개산 예산이 부족하다고 핵심군사능력 일부의 도입을 지연시킨다면, 미가 협의하여 2015년까지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한국 핵심군사능력이라고 리스트를 작성할 필요도 없다.

- 또 예산부족으로 2015년까지 핵심군사능력을 갖추는데 차질이 생긴다면, 미국에서는 또 한국이 군사적으로 무임승차하려 한다는 비판이 나올 것이고, 이는 신용을 중심으로 한 군사동맹의 약화로 이어질 것이다.

 

전작권 전환 시점 이전에 우리 군에게 가장 절실한 것은 핵심군사능력의 확보이다. 상부지휘구조 개편보다 더 중요한 핵심군사능력 확보는 뒷전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게 하려면, 2015년 전작권 전환 대비 전력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국방중기계획 수준의 적정예산을 반영해야 한다. 현 추세보다 2조 이상의 방위력개선예산이 추가 투입되지 않으면, 전작권 전환을 3년 반 늦춘 의미가 퇴색한다. 2012년도에 104천억원 이상의 방위력 개선비를 반영하는데, 국방부의 총력을 기울여 주기 바란다. 전작권 전환 준비에 있어 가장 급하고 중요한 것이 바로 이 방위력개선예산의 확보이다.

 

 

참고 : 국방중기계획과 현재 방위력개선비 추이의 차이

단위: 억원, 증가율(%)

구 분

’11

중 기 대 상 기 간

’12

’13

’14

’15

’16

’11~’15 중기계획

99,990

(9.8)

109,503

(9.5)

119,962

(9.6)

131,389

(9.5)

146,459

(11.5)

 

607,303

(10.0)

’12~’16 중기계획

 

104,666

(7.4)

112,674

(7.7)

121,113

(7.5)

129,828

(7.2)

139,239

(7.2)

607,520

(7.4)

’12~’16 가용재원 판단

(’11년 예산증가율 적용)

96,935

(6.5)

103,236

(6.5)

109,946

(6.5)

117,093

(6.5)

124,704

(6.5)

132,310

(6.5)

587,289

(6.5)